법무법인(유) 화우
홍성 파트너변호사
홍성 변호사.jpg
  • TEL 02 6003 7792
  • FAX 02 6003 7027
  • E-MAIL
법무법인(유) 화우의 파트너변호사로 주요 업무분야는 인사·노동입니다.
기업인사제도 및 인력관리, 기업의 비정규직 운영(사내하도급, 불법파견, 기간제법 등), 취업규칙 및 단체협약의 제·개정, 집단노사관계, 직장 내 괴롭힘 및 성희롱 컴플라이언스, 근로감독을 비롯한 고용노동청 대응 업무 등 다양한 유형의 인사·노동, HR 분야의 자문과 소송업무를 수행하였습니다. 최근 산업재해와 중대재해처벌법 대응을 위한 컴플라이언스 업무에도 높은 전문성을 보여주고 있습니다. 현재 대법원 노동법 실무연구회, 노동법이론실무학회 정회원으로 활동하고 있습니다.

경력

  • 2009-현재 법무법인(유) 화우
  • 2011-현재 대법원 노동법실무연구회 회원
  • 2018-현재 노동법이론실무학회 회원
  • 2019-현재 서울변호사회 노동법연수원 강사
  • 2008-09 법무부 국가송무과 공익법무관 (기획, 헌법재판)
  • 2006-08 부산고등검찰청 공익법무관 (국가소송, 행정소송)

학력

  • 2014 미국 University of Southern California Gould School of Law (LL.M)
  • 2008 고려대학교 법과대학원 (수료)
  • 2006 사법연수원 제35기
  • 2004 고려대학교 법과대학
  • 2003 제45회 사법시험 합격

주요업무사례

  • S사(반도체), K사(자동차제조) 저성과자 성과역량관리 프로세스 자문
  • C사(게임), K사(게임), S사(증권) 등 직장 내 괴롭힘 및 성희롱 조사 및 자문
  • H사(IT), Y사(자동차엔진제조) 등 집단노사관계 자문
  • I사(IT), E사(유통) 등 근로감독 대응 자문
  • S사(제조), S사(건설), H사(물류) 등 다수 기업 중대재해처벌법 대응 자문 및 컨설팅
  • L사(IT), G사(제조) 산업안전보건법 위반 사건 대리 및 자문
  • V사(중장비제조), S사(반도체) 사내하도급 및 불법파견 리스크 자문
  • H공사, H사(제조) 등 다수 기업 불법파견소송 대리
  • A사(항공), L사(유통) 기업인수합병 및 근로관계 자문
  • H사(자동차판매) 등 정리해고 자문
  • K사(은행) 비정규직 인력운영 방안 자문
  • M사(보험), S사(제조) 등 노동청 사건 대리
  • P사(제과), S사(제조) 등 다수 기업 통상임금소송 대리

수상

  • Legal 500 Asia-Pacific Employment & Labor 분야 “Next Generation Partners” 선정 (2020-2023)
  • Benchmark Litigation Asia-Pacific Labor and employment 분야 “Future Star” 선정 (2022-2023)

기고

  • The Implication of the Korean Supreme Court’s En Banc Decision on Abandoning the legal Principles of "Reasonable under the Social Norms", Journal 제90권 제4호, AMCHAM Korea (공저, 2023)
  • Controversies and Prospects on Liabilities for Damages Arising from Unlawful Industrial Actions, Journal 제90권 제3호, AMCHAM Korea (공저, 2023)
  • Korea Chapter, Occupational Health & Safety, Lexology Getting the Deal Through, Law Business Research (공저, 2022-2023)
  • South Korea: Law & Practice, Employment, Chambers Global Practice Guides, Chambers and Partners (공저, 2019-2021)
  • The Necessity for the “52-hour” Weekly Working Hours and Policy Improvements, Korea Herald (2018)
  • 서비스 대행기사의 근로자성 인정 관련 실무상 쟁점, 노동법률 (2015. 3.)
  • 사내도급과 근로자파견을 구별하는 기준, 노동법률 (2015. 5.)
  • 파견근로자에 대한 고용의무와 고용의제, 노동법률 (2015. 7.)
  • 사이닝보너스 반환약정의 유효성 및 법적 성격, 노동법률 (2015. 9.)
  • 인사이동 유형 및 정당성 요건 관련 실무상 쟁점, 노동법률 (2015. 11)
  • 부당해고구제와 소의 이익에 관한 몇 가지 쟁점, 노동법률 (2016. 1.)
  • 통상임금사건의 신의칙 판단에 관한 판례동향, 노동법률 (2016. 3.)
  • 저성과자 평가의 공정성 기준에 관한 몇 가지 쟁점, 노동법률 (공저, 2016. 5.)
  • 성과연봉제 확대도입과 사회통념상 합리성 이론, 노동법률 (2016. 7.)
  • 도급인의 산업안전보건법 위반책임, 노동법률 (2016. 9.)
  • 불법파견과 손해배상책임의 범위, 노동법률 (2016. 11.)
  • 서비스업의 임금체불 문제 해결을 위한 법적 제언, 노동법률 (2018. 1.)
  • 최저임금과 임금구조 개편, 노동법률 (2018. 4.)
  • 사업장밖 간주근로시간제의 실무상 쟁점, 노동법률 (2018. 7.)
  • 교섭창구 단일화 절차와 교섭단위 분리제도, 노동법률 (2019. 6.)
  • 직장 내 괴롭힘 방지법 시행의 명(明)과 암(暗), 노동법률 (2019. 11.)

관련소식